본문 바로가기

아마존5

8월 8일 증시전망 시황 뉴욕증시 저가매수 유입에 제한적인 상승 마감 미국증시는 4~5 거래일만에 저가매수 유입으로 반등했다. 다우는 1.16% 상승한 3만 5473.13 나스닥은 0.61% 오른 1만 3994.40에 마쳤다. 다우는 4일 만에 나스닥과 S&P500은 5일 만에 반등했다. 뉴욕증시는 10일 발표 예정인 7월 소비자물가지표(CPI)와 국채금리 동향에 주목했다. 월가예상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월 3.0% 보다 소폭 오른 3.3%를 예상한다. 근원소비자 물가상승률은 4.7%로 예상하는데 전월 4.8% 보다 소폭 하회를 전망한다. 지난해보다 인플레이션 둔화가 예상된다. 다만 장기간 인플레이션이 유지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다. 한편 연준이 긴축종료를 하려면 물가와 고용둔화에 뚜렷한 신호가 나와줘야한다. 연준 내 인사들 의견도 대조적인 상황인데 존 윌리엄스.. 2023. 8. 8.
8월 4일 증시전망 시황 뉴욕증시 국채금리 급등에 약보합 마감 미국증시는 10년물 국채금리 급등이 증시에 부담을 주며 약보합 마감했다. 신용등급 강등 여진도 남은 상황이다. 다우는 0.19% 내린 3만 5215.89 나스닥은 0.10% 하락한 1만 3959.72에 마쳤다. 미국증시는 10년물 국채수익률이 9개월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증시에 부담을 줬는데 장기금리 상승에 미래 수익가치 훼손 우려가 부각되며 기술주에 부담을 줬다. 10년물은 10.5bp 오른 4.183%를 기록했고 장중 4.198% 까지 치솟으며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30년물도 4.301%로 전장대비 13.6bp 올랐다. 2년물은 0.4bp 내린 4.887%를 기록했다. 장기물 국채금리 상승은 연준 긴축이 예상보다 길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지면서 경기침체 우려에 장기국채 매도가 나타났.. 2023. 8. 4.
8월1일 증시전망 시황 뉴욕증시 연착륙 기대감 부각에 상승마감 미국증시는 기업실적 호조에 연착륙 기대감이 부각되며 상승했다. 다우는 0.28% 상승한 3만 5559.53 나스닥은 0.21% 오른 1만 4346.02에 마쳤다. 장초반부터 상승세를 보였는데 기업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투자심리를 회복시켰다. 올해 2분기 실적 발표 기업들 중 80% 이상이 시장 예상을 웃도는 순이익을 공개했다. 64%가 넘는 기업들은 전망을 상회하는 매출액을 보였다. 한 달간 다우는 3.4% 상승했고 두 달 연속 올랐다. S&P는 3.1% 상승했고 5개월 연속 상승이다. 나스닥은 한 달간 4.1% 올랐고 5개월째 상승했다. 이번주 애플, 아마존 같은 빅테크를 비롯해서 스타벅스, 모더나, 퀄컴 등 주요기업 2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주요 빅테크주들 실적이 호조인 만큼 실적 기대감이 부각되는.. 2023. 8. 1.
4월28일 오늘시황 뉴욕증시 성장률둔화에도 빅테크 실적호조로 급등 미국증시는 빅테크주들 실적호조에 급등했다. 다우는 1.58% 오른 3만 3826.16 나스닥은 2.43% 급등한 1만 2142.24에 마쳤다. 장초반부터 강세를 보였는데 전일 장마감 후 실적발표한 메타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 발표 영향이다. 매출액과 순이익이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에 이어 기대이상의 실적을 발표한 것이다. 메타는 또 실적전망치 역시 시장전망을 상회하는 가이던스를 내놓았다.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절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됐다. 주요 기관들이 메타의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주가는 이날 13.93% 폭등했다. 그밖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 주요 기술주들이 모두 상승했고 테슬라도 캐시우드 추가 매입 소식에 4% 이상 급등했다. 한편 아마종.. 2023.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