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옵션만기13

9월14일 증시전망 시황 뉴욕증시 CPI소화이후 혼조 마감 미국증시는 물가상승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안심할 단계는 아니라는 판단 속에 혼조마감했다. 다우는 0.2% 내린 3만 4575.53 나스닥은 0.29% 상승한 1만 3813.58에 마쳤다. 이날 시장은 8월 CPI에 주목했는데 전년동월대비 3.7% 상승해서 월가 예상치 3.6%를 상회했다. 최근 급등한 국제유가 상승분이 반연된 모습이다. 전월대비는 0.6% 올랐다. 다만 근원 CPI는 둔화됐다. 8월 근원CPI 전년동기대비 4.3%상승해서 전달 4.7%보다는 둔화됐다. 전월대비는 0.3% 상승해서 예상치 0.2%를 상회했다. 유가상승에도 전반적인 물가상승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해석됐다. 물가상승세는 둔화됐지만 시장 예상을 상회하면서 3대지수는 상승폭도 제한적인 모습속에 혼조로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보.. 2023. 9. 14.
9월11일 증시전망 시황 주말 뉴욕증시 반발매수로 소폭 상승 마감 주말 미국증시는 낙폭과대에 따른 반발매수로 애플 등 기술주 중심 반등했다. 다우는 0.22%오른 3만 4576.59 나스닥은 0.09% 상승한 1만 3761.53에 마쳤다. 미국증시는 한주간 나스닥과 S&P500은 각각 1.9%, 1.3% 하락해서 3주만에 마이너스를 기록 다우는 0.8% 하락했다. 지난주 고용지표 둔화에 살아났던 투자심리가 낮은 실업수당 신청건수, 국제유가 상승에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 부각으로 위축된 모습이다. 시카고 상품거래도 페드워치에서 9월 금리 동결이후 11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47% 정도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13일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주목했고 물가가 하락했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연준 긴축 중단 여부 등이 확실히 방향성을 가질 전망이다. 다만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플.. 2023. 9. 11.
7월13일 증시전망 시황 뉴욕증시 예상치 하회 CPI발표에 상승 미국증시는 예상을 밑돈 소비자물가지수에 인플레이션 둔화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다우는 0.25% 오른 3만 4347.43 나스닥은 1.15% 상승한 1만 3918.96에 마쳤다. 장전 발표한 물가지표에 반응하며 초반부터 상승했는데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CPI는 전년동월대비 3.0%로 전월 4.0%보다 크게 낮아졌고 월가 예상치 3.1%도 하회했다. 지난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다. 근원물가는 전년대비 4.8% 올랐는데 예상치 5.0%를 밑돌았다. 인플레이션 둔화추세가 부각되며 연준의 긴축이 한 번만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로 투자심리가 회복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 연방기금금리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이번달 금리인상 확률을 92.4%로 보며 전날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9월과 11월, 12월 인상 가능성은.. 2023. 7. 13.
7월12일 증시전망 시황 뉴욕증시 CPI 둔화 기대감에 상승마감 미국증시는 CPI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에 상승했다. 다우는 0.93% 오른 3만 4261.42 나스닥은 0.55% 상승한 1만 3760.70에 마쳤다. 오늘 발표예정인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CPI 예상은 전년동월대비 3.1% 상승으로 전달 4.0%보다 감소가 예상되며 4% 아래는 2021년 4월 이후 처음이다. 인플레이션 둔화시 연준 금리인상 기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왔는데 25~26일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 25bp 인상이 대세이지만 9월과 11월 회의에 대한 예측이 엇갈린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연내 두 번이 아닌 한 번만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바뀌면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한편 연준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은 이어졌는데 전일 올해 두번 기준금리 인상.. 2023. 7. 12.